지금까지는 순수한 자보 코드만을 사용해서 DI를 적용했는데, 이제는 스프링으로 전환하여 사용해보겠습니다.
AppConfig에 설정을 구성한다는 뜻의 @Configuration을 붙여줍니다.
각 메서드에 @Bean을 붙여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해줍니다,
스프링 빈이 무엇인지는 다음시간에 설명하겠습니다.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main 클래스인 MemberApp에도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를 붙여줍니다.
(이때 AppConfig.class에는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여있어야 합니다.)
ApplicationContext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중요한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빈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역할을 합니다 .
이 인터페이스는 빈의 생성/관리/라이프사이클/의존성 주입 등을 담당하여 스프링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지원합니다.
ApplicationContext를 구현한 여러 클래스가 있는데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 -> xml 기반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 java 기반 등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는 JAVA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하고
매개변수로 AppConfig.class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AppConfig.class를 설정 클래스로 사용한다고 지정합니다.
이 어노테이션 사용으로
1.AppConfig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초기화 합니다.
2. 설정 클래스(AppConfig.class)에 정의된 @Bean 어노테이션을 기반으로 빈을 생성하고 컨텍스트에 등록합니다.
3, 의존성 주입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는 빈 간의 의존성을 주입하고 설정 클래스에서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필요한 빈을 주입합니다.
주문의 메인 클래스인 OrderApp에서도 스프링 전환을 위해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을 작성하고,
memberService와 orderService를 사용하기 위해
AppConfig에서 등록한 MemberService, OrderService 클래스를 getBean (빈 꺼내오기) 합니다.
그러면 AppConfig에서 설정한 의존성 관계와 필요에 따라 다른 빈도 함께 생성하고 주입합니다.
정리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합니다.
- 기존에는 AppConfig를 사용해서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DI 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사용합니다.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이 붙은 AppConfig를 설정(구성)정보로 사용하고, @Bean이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합니다. ->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부릅니다.
-@Bean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합니다 (memberService, orderService)
-이전에는 필요한 객체를 AppConfig를 사용해서 직접 조회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필요한 스프링 빈(객체)를 찾아야합니다. 이때 applicationContext.getBean()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기초 - 싱글톤 컨테이너 (0) | 2024.02.14 |
---|---|
스프링 기초 - 스프링 컨테이너 (0) | 2024.02.14 |
스프링 기초 -AppConfig와 구현체 조립 (0) | 2024.02.13 |
스프링 기본원리 - 객체지향 원리 적용 (1) | 2024.02.13 |
스프링 기본원리 - SOLID 원칙 /주문과 할인 도메인 설계 (1)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