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3

HTTP 상태코드 (http 김영한)

저번 시간에 공부한 http 메서드에 이어 http 상태코드에 대해 알아보자. 웹 페이지 개발을 조금이라도 건들여 본 사람이라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연동 시, 상태코드에 대해 접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클라이언트 측에서 HTTP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 , 서버에서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하고 클라이언트에게 결과 응답 메시지를 보내준다. 이 경우 응답메시지 시작 부분에 200 과 같은 상태코드가 나타나는데 , 이 상태코드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제대로 처리가 되었는지, 오류가 발생했는지 오류가 발생했다면 무슨 오류인지 알 수 있다. 크게 다음 5개의 상태코드로 나타낼 수 있다 1xx (informational):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인 상태. 2xx (Successful) : 요청 정상 처리 3xx (Redi..

HTTP 2024.01.07

HTTP 서버 (김영한 HTTP)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기 위해 작성한 내용이며, 중간에 옳지 않은 내용이 포함될 수 있음.* 전 시간에 URL을 통한 통신과정을 보며 HTTP 요청 메시지를 주고받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오늘은 HTTP 메시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HTTP 메시지에는 정말 많은 것을 담을 수 있다. HTML ,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API) 위의 형식 등등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대부분 HTTP를 사용한다. HTTP에도 발전 역사가 존재하는데, 그 중 HTTP는 HTTP/1.1 버전으로 가장 중요한 버전이다. (그 외에도 HTTP/2 , HTTP/3 버전이 있는데 HTTP/1.1을 베이스로 성능개선한 버전이다.) TCP / UDP에 대해서도 전 시간에 배웠었는데 HTTP 1...

HTTP 2024.01.06

HTTP 인터넷 통신 (김영한 http)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기 위해 작성한 내용이며, 중간에 옳지 않은 내용이 포함될 수 있음.* 인터넷에서 컴퓨터 둘은 어떻게 통신을 할까?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내용을 서버에서 받아오기도 하고 반대로 클라이언트가 작성한 내용을 서버에 저장하기도 한다. 우리는 흔히 인터넷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이 인터넷이라고 하는 중간 단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노드들로 이루어져있고, 단순히 서버까지 가는 경로에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많은 노드들을 거쳐서 정보들이 이동된다. (물론, 그 노드들이 어떻게 흐르는지는 알 필요 없다...) IP 인터넷 프로토콜 그 중에서도 먼저 많이 들어봤을 법한 "IP"를 이용한 통신 방법이 있다. ..

HTTP 202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