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빈 2

스프링 기초 - 스프링 컨테이너

이전 시간에 ApplicationContext를 통해 스프링 컨테이너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다시 정리해 보자면 ApplicationContext는 인터페이스이고 XML 기반의 설정 클래스와 , 자바 기반의 설정 클래스를 만들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 중 JAVA기반의 AnnotationCofig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하였고 이는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입니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를 통해서 생성됩니다.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 할 때는 구성 정보를 지정해줘야하는데 위 코드에서 보면 알 수 있듯 AppConfig.class로 설정 그러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파라미터로..

스프링 2024.02.14

스프링 기초 - 스프링으로 전환

지금까지는 순수한 자보 코드만을 사용해서 DI를 적용했는데, 이제는 스프링으로 전환하여 사용해보겠습니다. AppConfig에 설정을 구성한다는 뜻의 @Configuration을 붙여줍니다. 각 메서드에 @Bean을 붙여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해줍니다, 스프링 빈이 무엇인지는 다음시간에 설명하겠습니다.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main 클래스인 MemberApp에도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를 붙여줍니다. (이때 AppConfig.class에는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여있어야 합니다.) ApplicationContext는 스프링 프레임..

스프링 2024.02.13